更全的杂志信息网

중·한 부정문 대조 분석―의미론을 중심으로

更新时间:2009-03-28

1. 서론

한국어와 중국어에는 모두 부정문이 존재하지만 한국어는 교착어이고 중국어는 고립어이기에 통사나 의미면에서 차이가 따른다. 중국어에서 부정문은 주로 부정 단어로 구별되는반면 한국어에서는 단어뿐만 아니라 통사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본 논문은 대조 분석의 방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부정문의 실제 예문을 분석함으로써 중·한 부정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려고 한다.

중·한 부정문에 관한 선행연구는 많지만 주로 한국어 부정문과 중국어 부정문의 통사적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와 달리 본 논문은 한국어 부정문의 각 의미항과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 부정문을 직접 대조시켰다. 본 논문은 한국어 부정문을 통사적 부정(‘안’ 부정,‘못’ 부정과 ‘말다’ 부정)과 어휘적 부정(‘아니다’, ‘없다’, ‘모르다’)으로 나누어 각 부정 유형과 대응되는 중국어 부정 표현을 대조시켜분석하고자 한다.

四要构建预防化解矛盾机制,加快解决水库移民遗留问题,建立移民安置利益调解机制,建立健全移民安置和后期扶持工作社会稳定风险评估机制。

2. 부정문의 개념 및 유형

2.1 한국어 부정문의 개념 및 유형

한국어 부정문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르지만 주로 의미적, 통사적과 어휘 측면에서정의를 내리고 있다. 최재희(2001)에서는 의미적으로 “어떤 문장에서 그 명제의 진리 조건을 정반대로 바꾸는 일을 하는 요소를 부정사라고 하고 이 부정사들이 들어있는 문장을부정문이다”(1)라고 정의를 내리고 있다. 일반적으로 부정부사 ‘아니/안’, ‘못’이나 보조용언‘아니하다(않다), 못하다, 말다’와 결합하여 부정문을 만든다고 하였다. 이규호(2010)에서는 통사적으로 “긍정의 뜻을 가진 문장에 부정 부사 ‘안, 못’이나 부정 서술어 ‘아니하다,못하다, 말다’ 따위를 써서 부정의 뜻으로 바꾸어 주는 방법을 부정법이다”라고 정의를 내리고 있다. 이 밖에 구본관 외(2015)와 김명성(2002)에서는 어휘 부정문에 대해 제기하고 있다. 구본관 외(2015)에서는 부정문은부정부사 및 부정의 보조용언 구성 등을 사용하여 긍정문을 통사적으로 바꾸거나 ‘없다’, ‘모르다’ 등의 어휘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고하였다. 김명성(2002)에서는 어휘 부정문은 ‘없다’, ‘모르다’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문법 요소(접두사)의 추가에 따라 부정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접두사가 결합되는 유형은 한자어에 작용되는데 ‘부-, 불-, 무-, 비-, 미-, 반-, 몰-, 실-’ 등의 접두사가 있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1.总体规划目标。依托当阳市地理环境和较为丰富的渔业资源优势,以国家和地方环境保护法律法规为依据,遵循“生态优先、养捕结合、以养为主”的渔业发展方针,本着“立足当前、着眼未来”的发展思路,确定养殖水域滩涂的规划目标,明确当阳市境内养殖水域滩涂功能区域范围,依法保护和改善养殖水域生产环境,保障养殖渔民正常生产、生活所需的养殖水域,为合理开发利用养殖水域滩涂资源、提高水域滩涂的利用率、完善和推进水域养殖管理制度、促进当阳市水产养殖业的可持续发展提供科学依据。

한국어 부정문의 개념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의미적으로 사실이 아니거나 주어진 용언이 수행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문장으로 정의하고 통사적으로는 부정소 ‘안’, ‘못’,‘말다’나 보조용언 ‘-지 않다’, ‘-지 못하다’,‘-지 말다’가 들어가고 문장 전체의미를 부정으로 바꾸는 문장이다. 그리고 어휘적으로는‘모르다’, ‘없다’ 등 어휘나 ‘부-, 불-, 무-’등 접두사로 실현된 부정 어휘로 이루어진 문장을 가리킨다.

정의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어 부정문의 유형은 주로 다음과 같다. (ㄱ) 통사적 부정문과 어휘적 부정문으로 나눈다. (ㄴ) 통사적부정문은 ‘안’ 부정, ‘못’ 부정과 ‘말다’ 부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안’ 부정에서 단형부정인‘안’과 장형부정인 ‘-지 않다’를 포함하고 있으며 ‘못’ 부정은 단형부정인 ‘못’과 장형부정인 ‘-지 못하다’를 포함하고 있다. (ㄷ) 어휘적 부정문은 ‘아니다’, ‘없다’, ‘모르다’와 접두사로 실현된 어휘로 구성하고 있다.(2)

2.2 중국어 부정문의 개념 및 유형

지금까지 중국어 부정문에 대한 연구는 주로 부정소에 집중하고 있다. 조원임(1979)에서는 ‘不’는 부사에 속하고 ‘没(有)’는 부사와 동사의 품사성격을 모두 지니고 있다고 논하였다. 또한 ‘没(有)’는 단순부정이고, ‘不’는 하려고 하지 않거나 원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고하였다. 여숙상(1980, 1999)에서는 현대 중국어의 부정사로 ‘不’, ‘没(有)’, ‘未’, ‘别’, ‘非’,‘无’ 등을 열거하였다. 이를 품사에 따라 구분하면 ‘不’만 부사이고 나머지는 동사나 조동사이다. ‘不’는 주관 의지를 부정하고 시제 제약이 없다. ‘没(有)’는 객관적인 진술을 부정하고 과거와 현재 시제에 적용하며 미래 시제에는 쓰일 수 없다. 黄伯荣·廖序东(1997)에서는사물에 대해 긍정의 판단을 내리는 문장을 긍정문이라고 하고 사물에 대해 부정의 판단을내리는 문장을 부정문이라고 정의하였다. 『신화사전』에서는 부정문을 동의하지 않거나 인정하지 않아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문장으로 정의하고 있다.

不去游泳。

한국어 부정문과 중국어 부정문은 의미적으로 모두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문장이라는 점에서 같다. 중국어 부정문은 통사적으로는 주로 ‘不’, ‘没(有)’, ‘别’과 같은 부정소로 실현되어 한국어보다 단순하여 세분화되지 않다는특징을 지닌다. ‘不’, ‘没(有)’와 ‘别’ 외에는 ‘未’나 ‘非’, ‘无’ 같은 부정소도 존재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연구 대상에 넣지 않고 중국어 부정문을 ‘不’, ‘没(有)’과 ‘别’로 실현된 세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기로 한다.(3)

3.한국어 통사 부정과 대응되는중국어 부정 표현

한국어 통사 부정에는 ‘안’ 부정, ‘못’ 부정,‘말다’ 부정과 이에 대응되는 ‘-지 않다’, ‘-지못하다’, ‘-지 말다’를 포함하고 있다. 단형부정과 장형부정의 쓰임새에는 차이점이 있지만본 논문은 중·한 부정문을 주로 대조 대상으로 삼기에 구체적으로 논하지 않고 편의상 단형부정과 장형부정을 구별 없이 진행하도록한다. 부정의 대상은 형용사와 동사로 나누고부정대상이 형용사인 경우는 주관적 평가에속하기에 더 세분하여 분석하지 않고 동사의경우 주어가 유정물인지 무정물인지에 따라,그리고 과거, 현재, 미래 등 시제에 적용할수 있는지에 따라 분석한다.

既往研究[9-10]表明,中国医师虽然对临床指南需求迫切,但对临床指南的了解程度并不够。本研究从眼科医师对临床指南的认知和应用情况方面展开调查,以期发现临床指南现阶段推广应用中存在的问题,并探索可能的解决方案。

3.1 ‘안’ 부정과 대응되는 중국어부정 표현

한국어 ‘안’ 부정에 대응되는 중국어 부정은‘不’, ‘没’이다. ‘안’ 부정은 부사 ‘안’과 보조용언 ‘-지 않다’로 이루진 부정문인데 단형부정‘안’은 동사나 형용사 앞에 나타나고 장형부정‘-지 않다’는 동사나 형용사 뒤에 붙는다. ‘안’(‘不’나 ‘没’) 부정은 단순부정을 나타내거나의도 부정을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화자는‘안’(‘不’나 ‘没’) 부정을 통해 문장의 주체인행위자의 상태나 동작에 대하여 부정의 뜻을전한다.

第一,改善商业化审计模式。在实践中可以通过董事会或者审计委员会代替传统的财务部门委托注册会计师进行审计的模式,转变传统的收费制度,通过双向的书费制度,提升要求标准,重视上市公司的审计。第二,要推动非商业化审计制度的持续发展。在实践中要构建标准化、专业的报告制度,重视监督制度,强调复合审计,建设完善的审计行业协会,在根本上提升审计工作质量。

먼저, 부정의 대상이 형용사인 경우 한국어부정문과 대응되는 중국어 부정문을 대조하여분석하기로 한다.

(1)ㄱ. 한국에서 책은 싸지 않다.

韩国的书不便宜。

ㄹ. 요즘 바빠요?

ㄴ. 혼자서도 심심하지 않다.

一个人也不无聊。

ㄷ. 수업이 어렵지 않다.

课程不难。

行政事业单位在财务管理工作的开展上,最重要的就是提高内部财务管理力度,这样对内部控制工作也有很大帮助,除此之外,行政事业单位在会计核算上也要做好相关工作。还有,行政事业单位要根据自身内部的情况建立财务信息管理系统,让行政事业单位的财务信息能够得到实时共享,使行政事业单位财务资金的收入、支出能够了然于掌。要借助新会计制度的优势,与财务工作进行有机的结合,使内部财务管理能够有效的加强。

最近忙吗?

-아니요. 바쁘지 않아요.

-不,最近不忙。

(2)ㄱ. 어제 날씨가 덥지 않았다.

昨天不热。

먼저 능력 부정은 위의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의지나 능력에 대한 부정이다. 그리고한국어와 중국어에서는 의지나 능력을 주로동사를 통해 표현한다. 하여 능력 부정은 동사에 대한 부정이라고 할 수 있다. 앞서 서술했듯이 형용사는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로서 능력이나 의지를 나타낼 수없으므로 원칙적으로 능력 부정과 같이 쓸 수없다. 그런데 ‘조용하다, 빠르다, 넉넉하다, 만족하다, 풍부하다, 넓다, 좋다’ 등과 같은 바람직한 상황을 의미하는 서술어와 결합할 때능력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여 부족하고 아깝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今天不热。

ㄱ''. 내일 날씨가 덥지 않을 것이다.

明天不会热的。

ㄴ. 어렸을 때 예쁘지 않았다.

小时候不漂亮。

ㄴ'. 지금 예쁘지 않다.

现在不漂亮。

ㄴ''. 앞으로 예쁘지 않을 것이다.

以后不会漂亮的。

在新课程改革的浪潮中,核心素养是一个不可忽视的线索。近年来,新修订的《普通高中课程标准》中对高中各学科核心素养的内容做出了规范化表述,使“核心素养”这一概念从模糊走向清晰,各学科教学实践也有了明确的理论依据。本文以高中语文学科为研究对象,就与核心素养培育有关的学理与方法问题进行简要探讨。

예문 (1), (2)를 보면 한국어에서 서술어가형용사인 경우 ‘안’ 부정을 사용하였다. 즉, 형용사는 사물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이기 때문에 능력의 의미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예문은 능력 부정, 즉 주관적으로 원하지만 실현하기 불가능한 의미를 포함하기 때문에 ‘못’ 부정을 사용할 수가 없다.

3.社会主义文化建设繁荣发展。从20世纪90年代开始,广州依托经济的快速发展和可支配财力的快速增长,注重加大对文化基础设施建设的投入力度。1996—2000年,先后建成了星海音乐厅、广州艺术博物院、红线女艺术中心、广州芭蕾舞团团址、广州艺术学校、广州报业集团印务中心、广州电视台新址、广州电视台新闻中心、番禺博物馆等标志性文化工程,推动文化设施建设“从娱乐型向享受型发展,从基本的普及型向塑造城市形象的方向转变”[4]29,为广州文化新发展奠定了坚实的基础。

예문에서의 ‘-지 않다’는 단순부정인 만큼이와 대응되는 중국어 ‘不’도 단순부정, 즉 사람의 의지나 능력과 관계없이 부정을 나타낸다. 그리고 ‘안’ 부정과 ‘不’ 부정은 과거, 현재와 미래 시제에 다 쓰일 수 있다. 다만 한국어가 교착어이고 중국어가 고립어에 속하기 때문에 한국어 부정문의 시제는 ‘-았/었/였-’,‘-ㄹ 것이다’ 등 형태에 의하여 나타나고 중국어 부정문의 시제는 ‘去年, 明年, 小时候,现在’ 등 시간부사에 의해 나타난다.

다음 부정의 대상이 동사인 경우 한국어 부정문과 대응되는 중국어 부정문을 대조하여분석하기로 한다.

(3)ㄱ. 집에 가지 않다.

不回家。

ㄴ. 수영하러 가지 않다.

唐门?闻听对方此言,青辰便是一愣。这两个字,他觉得非常熟悉,似乎从哪里见到过,他在脑中搜索,然而一时间却又想不起来。又听对方直呼“骨羽大师”之名,心中更是惊奇,师父在族中地位特殊,族人皆以“天师”敬称,是以极少有人知道姓名,面前这蜘蛛精,何以知晓?

*不能担心。

不下雨。

ㄹ. 감기에 걸리지 않다.

3.1.2 申领驾照者是否应签署器官捐献协议 表2显示,仅31.53%的护士认为“申领驾照者签署器官捐献协议”可以接受,这与孔德峰[6]的研究结果类似。要求申请驾驶执照者签署“愿意在死亡后捐献器官的协议”,以备申领驾照者在遭遇车祸等意外情况、生命无法救治时,能够及时捐献器官,提高器官捐献率。这一举措的目的是增加捐献器官人数,救治更多的器官衰竭患者,但是其中包含强制成分,若申请驾驶执照者拒绝签署捐献器官的协议,或许在一定程度上会被认为是自私的行为,有悖于社会道德。因此,是否应该要求申请驾驶执照者签署捐献器官的协议,还有待进一步研究。

不感冒。

火锅是中国独创的美食,中国人吃火锅的历史源远流长,而由于地域各异和所涮食品的不同,形成了许多不同的火锅,比如广东的海鲜火锅,食而不腻,味美无穷;苏杭一带的菊花火锅,清香爽神,风味独特;云南的滇味火锅,鲜嫩香辣,饶有风味;湘西的狗肉火锅,享有“狗肉滚三滚,神仙站不稳”之美誉;重庆的毛肚火锅,麻辣醇香,名扬天下;北京的羊肉涮锅风味别致,吊人胃口……

(4)ㄱ'. 집에 가지 않았다.

没(有)回家。

ㄴ'. 수영하러 가지 않았다.

没去游泳。

外面没(有)下雨。

2009年《国务院关于推进海南国际旅游岛建设发展的若干意见》(国发〔2009〕44号)指出海南省要“积极稳妥推进开放开发西沙旅游,积极发展邮轮旅游,建设邮轮母港,开展经批准的国际航线邮轮服务业务”。因此于2013年4月正式开通西沙群岛邮轮旅游。目前,开通西沙群岛邮轮航线的邮轮有两艘,一艘是海南省港航控股有限公司的“长乐公主”号,另外一艘是中国远洋海运

ㄷ'. 비가 오지 않았다.

①适时开展流域及区域水资源及开发利用评价,有效把握水资源变化及开发利用动态,提出针对性的解决措施,制订并落实《甘肃省主体功能区划》《甘肃省水功能区划》《河西内陆河流域节水型社会建设规划》《甘肃省地下水超采区禁采区划定》《河西内陆河主要河流初始水权分配方案》《石羊河流域水资源综合管理规划》,以整体和综合的视觉指导和规范用水总量控制。

ㄹ'. 감기에 걸리지 않았다.

没(有)感冒。

(5)ㄱ''. 집에 가지 않을 것이다.

不回家。

ㄴ''. 수영하러 가지 않을 것이다.

不去游泳。

ㄷ''. 비가 오지 않을 것이다.

不会下雨的。

ㄹ''. 감기에 걸리지 않을 것이다.

不会感冒的。

예문 (3), (4), (5)는 현재, 과거, 미래 시제의 부정문들이다. 한국어의 경우 부정의 대상이 동사일 때도 시제가 형태에 의해서 나타나지만 이와 달리 중국어 부정문의 시제는 부정소 자체로 나타난다. 예문 (2)에서 보이듯이 중국어 부정문의 대상이 형용사인 경우 현재나 과거, 미래시제는 모두 ‘不’와 결합한다.그런데 동사일 경우 예문 (3)의 현재시제(4)와 예문 (5)의 미래시제에서는 ‘不’로 부정을나타내고 예문 (4)의 과거시제는 ‘没(有)’로부정을 나타냈다. 여기서 중국어 부정문에서동사가 주관적인 의지를 나타날 때 현재시제나 미래시제에서는 ‘不’로 부정을 나타내고 과거인 경우는 이미 발생된 객관적인 사실에는‘没(有)’를 쓴다.

예문 (5)의 중국어 부정문은 모두 미래시제이지만 (ㄱ''), (ㄴ'')은 ‘不’를 (ㄷ'')과 (ㄹ'')은‘不会’를 대응시켰다. (5ㄱ''), (5ㄴ'')에서는 ‘不会’로 부정을 나타낼 수 있지만 ‘하지 않는’주관적 의지를 더 강조하고자(5) ‘不’를 사용하였다. 반면에 (5ㄹ'')은 ‘不’로 바꾸어 쓰면 문장이 어색해진다. 즉, 주관적인 의지를 나타내는 ‘不’만으로 부정을 나타낼 수 없고 반드시 양태성을 나타내는 ‘会’와 결합하여야 한다.

3.2 ‘못’ 부정과 대응되는 중국어부정 표현

‘못’ 부정은 ‘못’과 ‘-지 못하다’를 포함하고있는데 ‘못’ 부정은 용언 앞에, ‘-지 못하다’는용언 뒤에 붙는다. ‘못’ 부정은 의지대로 되지않는 일을 나타내거나 능력이나 또는 외부의어떤 원인 때문에 그 행위가 일어나지 못하는것을 나타내므로 흔히 능력 부정, 또는 타의부정이라고 한다.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 부정에는 주로 ‘不能’ ‘没(法)’가 있다.

ㄱ'. 오늘 날씨가 덥지 않다.

(6)ㄱ. 좀 조용하지 못해?

不能安静点?

ㄴ. 좀 빠르지 못해?

不能快点?

城市形象,是社会大众对城市的总体印象和评价,它不仅是城市景观所带来的外在表现,更是城市文化、城市精神所带来的内在品质。在新的经济条件下,一个城市的良好形象,已经成为一个城市的重要资源和无形资产。具有鲜明个性的城市形象、良好的城市美誉度以及一定的城市知名度,已经成为提高城市竞争力的核心资源。而事件营销作为一种“眼球经济”的手段,其强大的吸引力和号召力,可以迅速推动事件发生地的知名度提升。

ㄷ. 좀 얌전하지 못해?

不能老实点?

ㄹ. 살림이 넉넉하지 못했다.

生活不宽裕。

ㅁ. 학교생활에 만족하지 못했다.

对学校生活不满意。

(7)ㄱ. *긴장하지 못했다.

ㄷ. 비가 오지 않다.

ㄴ. *아프지 못하다.

*不能痛。

예문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국어와 한국어에서 능력 부정은 긍정적인 뜻을 가지는형용사가 평서문이나 반어문에 쓸 수 있다.(6ㄱ), (6ㄴ), (6ㄷ)은 불만의 말투로 ‘좀 조용히/빨리/얌전하게 하세요’의 요구를 나타내고 (6ㄹ), (6ㅁ)은 기대하는 만큼 넉넉하지않다는, 만족하지 못하는 아쉬운 감정을 전하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한국어에서는 예문(6ㄱ)-(6ㅁ)에 모두 ‘못’으로 부정을 나타냈지만 중국어에서는 반어문 (6ㄱ), (6ㄴ), (6ㄷ)에서는 ‘不能’으로, 평서문 (6ㄹ), (6ㅁ)에서는 ‘不’를 대응시켰다. 이는 평서문에서 사람의 주관적 생각만 인정해 주지만 반어문에서의 ‘不能’은 정상적인 기준에 도달하지 못한듣는 이의 능력 부족을 더 강조하는 것이다.예문 (7)처럼 부정적인 의미를 포함한 ‘긴장하다, 아프다, 무섭다’ 등 사람이 원하지 않는감정들은 능력 부족 때문에 아쉬움을 나타내는 ‘못’ 부정과 같이 쓰지 않는다.

다음 능력 부정의 대상이 동사일 경우 주로단순부정과 대조된 예문을 통해 분석하기로한다.

(8)ㄱ. 집에 가지 못하다.

没法回家。

ㄴ. 수영하러 가지 못하다.

没法去游泳。

ㄷ. *밖에서 비가 오지 못하다.

*外面没法下雨。

ㄹ. *감기에 걸리지 못하다.

*没法感冒。

(9)ㄱ'. 집에 가지 못했다.

没回家/?没能回家。

ㄴ'. 수영하러 가지 못했다.

没去游泳/?没能去游泳。

ㄷ'. *밖에서 비가 오지 못했다.

*外面没能下雨

ㄹ'. *감기에 걸리지 못했다.

*没能感冒。

(10)ㄱ''. 집에 가지 못할 것이다.

没法回家。

ㄴ''. 수영하러 가지 못할 것이다.

没法去游泳。

ㄷ''.*밖에서 비가 오지 못할 것이다.

*外面没法下雨。

ㄹ''.*감기에 걸리지 못할 것이다.

*没法感冒。

앞의 예문 (3ㄱ), (3ㄴ)과 대조해 보면 (3ㄱ),(3ㄴ)은 주관적인 의지를 나타내지만 예문(8ㄱ), (8ㄴ)은 자신의 능력이나 외부적인 조건 등 객관적인 요소 때문에 실현할 수 없는것을 나타낸다. (8ㄷ), (8ㄹ)의 경우는 ‘안’부정과의 결합은 자연스럽지만 ‘못’ 부정과는그렇지 못하다. 왜냐하면 ‘비가 오다’는 것은사람의 능력이나 외부적인 환경에 따라 좌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비가 오다’는 것이나 ‘감기에 걸리다’는 것은 사람의능력에 의하여 좌우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때문에 능력 부정을 나타내는 ‘못’과 결합하지못한다.(6)

‘못’과 대응되는 중국어는 현재시제 (8ㄱ),(8ㄴ)과 미래시제(10ㄱ''), (10ㄴ'')의 경우에는 모두 ‘没法’를 사용하였다. ‘没法’는 “할방법이 없다” 또는 “할 수 없다”의 뜻으로 즉단어 자체가 객관적 원인 때문에 행위가 이루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과거시제 (9ㄱ'),(9ㄴ')의 경우는 예문(4ㄱ'), (4ㄴ')처럼 ‘没’를 사용하였다.(7) 중국어는 고립어인 관계로주관적인 원인이나 객관적인 원인이든 단어보다는 문맥을 통해 나타낸다.

3.3 ‘말다’ 부정과 대응되는 중국어부정 표현

앞의 ‘안’ 부정과 ‘못’ 부정에 비해 ‘말다’ 부정은 ‘말다’라는 단형부정이 존재하지 않고 장형부정 ‘-지 말다’만 포함한다.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 부정 표현은 ‘不要/别’이다. ‘안(不/没)’부정과 ‘못(不/没)’ 부정은 평서문이나 의문문에서 쓰이고 명령문이나 청유문에서 쓰이지 못하는 반면 ‘말다(不要/别)’ 부정은 주로명령문과 청유문에서 결합이 가능하고 평서문이나 의문문에서 쓰이지 못다.(8) ‘말다’는 “어떤 일이나 행동을 하지 않거나 그만두다”를의미한다. 이에 ‘말다’(不要/别)’ 부정은 동사에 대한 부정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예문(11)처럼 형용사와 같이 쓰기도 한다. 이때문장의 의미는 명령이 아니라 소망이나 바람을 나타낸다.

(11)ㄱ. 시장에 사람이 많지만 말아라.

(但愿)集市上人不要太多。

ㄴ. 날씨가 춥지만 말아라.

(但愿)天气不要太冷。

ㄷ. 너무 아프지 말아라.

(希望)你不要太难过。

아래 한국어 ‘말다’ 부정문이 명령문과 청유문에서 쓰인 예문과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 부정 표현을 대조해보기로 한다.

(12)ㄱ. 집에 가지 말라.

别/不要回家。

ㄴ. 수영하러 가지 말라.

别/不要去游泳。

ㄷ. ?비가 오지 말라.

别/不要下雨。

ㄹ. 감기에 걸리지 말라.

别/不要感冒。

(13)ㄱ'. 집에 가지 말자.

(我们)别回家了。

ㄴ'. 수영하러 가지 말자.

(我们)别去游泳了。

ㄷ'. *비가 오지 말자.

*(我们)别下雨了。

ㄹ'. 감기에 걸리지 말자.

(我们)别感冒了。

예문 (12)는 한국어 부정문의 명령형이다.이에 대응되는 중국어 부정문의 명령형은 ‘不要/别’이다. 명령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무엇을 시키거나 행동을 요구하는 문장이고 반대로 부정 명령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무엇을 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문장이다. (12ㄷ)에서화자는 문장의 주체인 무정물 ‘비’에 대해 명령을 내리지 못해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할 수있지만 앞에 (11)처럼 소망이나 바람을 나타내는 측면에서는 가능하다고 볼 수도 있다.하지만 예문 (13ㄷ')처럼 화자가 청자에게 같이 행동할 것을 요청하는 청유문에서 결합이어색하다. (12ㄹ)에서는 ‘감기에 걸리다’는 것은 사람 의지대로 좌우지 하지 못하는 것이지만 옷을 많이 입거나 물을 많이 마시는 등 방법을 통해서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기에 부정 명령문에서의 결합이 어색하지 않다.

예문 (12)와 (13)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어의 부정 명령문과 부정 청유문은 어말어미에 의해 구별된다. (12)에서는 ‘别/不要’를 통해 남에 대한 명령을 나타낸다. 예문 (13)에서는 ‘别’과 함께 어말에 상의하는 말투를 나타내는 ‘了’를 붙여서 청유의 의미를 전한다.그런데 ‘别’ ‘了’를 같이 쓰면 명령을 내리는것으로 이해할 수 있기에 ‘我们’을 붙이면 청유의 의미가 분명해진다.

4.한국어 어휘 부정과 대응되는중국어 부정 표현

한국어 어휘 부정은 ‘아니다’, ‘없다’, ‘모르다’ 세 부류로 나눌 수 있는데 고유어 부정어가 존재하는 용언에 대한 부정이다.(9) 이에대응되는 중국어는 ‘不/不是’, ‘没有’와 ‘不知道/不会’이다.

4.1 ‘아니다’와 대응되는 중국어 부정표현

‘아니다(不/不是)’ 부정문은 명사에 대한 부정과 의문문의 부정적 대답 두 가지 용법으로나누어 보기로 한다.

(14)ㄱ. 그 사람은 가수가 아니다.

那个人不是歌手。

ㄴ. 환경 보호 문제는 쉬운 것이 아니다.

环境保护不是简单的事。

ㄷ. 자연은 사람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自然不是为人类而存在的。

(15)ㄱ. 그 사람은 가수야?

那个人是歌手吗?

-아니요. (가수가 아니야.)

-不,不是歌手。

ㄴ. 요즘 바빠?

最近忙吗?

-아니요. (안 바빠)

-不,不忙。

ㄷ. 돈을 좋아해요?

喜欢钱吗?

-아니요.(돈 좋아하지 않아요)

-不,不喜欢钱。

예문 (14)와 같이 ‘아니다’는 평서문에서 ‘체언+이다’형으로 부정을 나타낸다. (14ㄴ), (14ㄷ)은 각각 ‘환경 보호 문제는 쉽지 않다’, ‘자연은 사람을 위해 존재하지 않는다’에서 전환해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분열문(10) 형식으로 ‘쉽다’에 초점화하여 부정의 의미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15)에서 중국어 부정은 ‘不’와 판단을 나타내는 ‘是’와 결합한 ‘不是’형식으로 부정을 나타낸다. 의문문에 대한 대답으로 ‘아니다’와 ‘不’는 ‘체언+이다’뿐만 아니라 동사나 형용사에 대한 대답이기도 하다.

4.2 ‘없다’와 대응되는 중국어 부정표현

‘있다(在/有)’는 “어떤 곳에서 떠나거나 벗어나지 않고 머무는 상태”나 “앞의 물체의 존재”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없다’와 대응되는 중국어 부정은 ‘不在/没有’이다.

(16)ㄱ. 기숙사에 있다.

在宿舍。

-기숙사에 없다.(-기숙사에 있지 않다.)

不在宿舍。

ㄴ. 돈이 있다.

有钱。

-돈이 없다.(*돈이 있지 않다.)

没有钱。

ㄷ. 맛이 있다.

有味道/好吃。

-맛이 없다.(*맛이 있지 않다.)

没有味道/不好吃。

ㄹ. 저 사람 말을 믿을 수 있어?

那个人的话能信吗?

-믿을 수 없다.

-不能信。

ㅁ. 두 살 아이가 혼자서 밥을 먹을 수 있어?

两岁的孩子能自己吃饭?

-먹을 수 없다.

-不能。

예문 (16ㄱ)은 “어떤 곳에서 떠나거나 벗어나지 않고 머무는 상태”에 대한 부정으로 ‘없다’와 ‘있지 않다’를 통해 부정을 나타낼 수있다. (16ㄴ), (16ㄷ)의 경우 ‘없다’로만 부정을 나타낸다. 중국어에서는 ‘돈’이나 ‘맛’ 등물질명사에 대한 부정은 ‘没有’로 ‘어떤 곳에있는 상태’의 가능성에 대한 부정은 ‘不’를 사용하였다.

4.3 ‘모르다’와 대응되는 중국어 부정표현

‘알다’는 “어떤 정보를 갖추다”와 “할 줄 알다”의 두 가지 의미로 나눌 수 있다. ‘모르다’와 대응되는 중국어 부정은 ‘不懂/不会’이다.

(17)ㄱ. 경제학은 잘 알아?

懂经济学吗?

-잘 몰라요./*알지 않아/못해.

-不懂。

ㄴ. 수영할 줄 알아?

会游泳吗?

-할 줄 몰라요/*알지 않아/못해.

-不会。

예문 (17ㄱ), (17ㄴ)은 ‘알다’의 두 가지 의미를 나타내고 있지만 모두 ‘모르다’와 ‘-지못하다’로 부정할 수 있다. ‘-지 않다’를 쓰지 못하는 원인은 ‘알다’에 포함된 의미 때문이다. ‘알다’는 “어떤 정보나 능력을 갖춤”을 의미한다. 중국어의 경우는 아쉬움을 나타내는 부정법이 없어서 위의 두 경우에는다 객관적인 ‘不’를 선택한 것이다.

5. 결론

본고는 중·한 부정문에 대해 개념에서 출발하여 의미를 대조하고 분석하였다. 한국어와중국어에서는 모두 부정문이 존재하지만 한국어의 부정 의미는 중국어보다 더욱 세분되고체계적이다. 구체적 차이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부정문의 시제의미는 어말어미에 의해서 나타나는데 중국어 부정문은 ‘没(有)’와 같은 부정사 자체가 가질 경우도 있고 ‘不’와 같은 현재와 미래시제에 모두 쓰이는 경우는 문맥에 따라 선별하여야 한다.

둘째, 한국어 부정문에서 능력 부정인 ‘못’부정이 있는 반면 중국어 부정문에는 대응되는 해당 부정 표현이 없다. 따라서 중국어 부정보다 한국어 부정의 의미는 한층 더 세분되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중국어 부정사의 쓰임은 한국어보다유연하다. ‘不’는 형용사의 과거, 현재, 미래시제와 의지와 관련된 동사의 현재 및 미래시제에 두루 쓰인다. 형용사는 주관적인 평가를 나타내고 의지와 관련된 동사의 현재나 미래 시제도 주관적인 의미를 나타내므로 ‘不’는주관 부정이라고 할 수 있다. ‘没’는 주로 의지동사의 과거 시제나 객관원인 때문에 실현할수 없는 미래시제에 쓰이므로 객관 부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의 ‘말다’ 부정이나 어휘부정과 대응되는 중국어 부정 표현은 의미적으로 큰 차이가 없다.

본고는 중·한 부정문에 대한 분석을 통해중국어보다 한국어의 부정 의미가 더욱 세분화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향후 그 부정의미의 세분화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1)그런데 부정사가 들어있는 문장을 다 부정문이라고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사과 받지 못한 사람 손들어 주세요”라는 문장에서는 ‘-지 못하다’라는 부정사가 들어있지만부정의 뜻을 나타내지 않기에 부정문이 아니다.

(2) ‘부-, 미-, 불-, 무-’ 등 부정 의미를 나타내는 접두사로 구성된 어휘는 따로 부정극어에 속하는데 본 논문의 연구 범위에서 제외하였다.

(3) 중국어에는 부정사는 많지만 ‘不’, ‘没(有)’와‘别’과 비슷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세 부류에 넣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非’는 ‘不’와, ‘未’나 ‘无’는 ‘没(有)’, ‘勿’는 ‘別’과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다만 ‘非’, ‘未’,‘无’ ‘勿’ 등은 ‘不’, ‘没(有)’와 ‘别’보다 문어체의 기미와 부합한다.

(4)예문 (3ㄷ), (3ㄹ)은 특정한 문맥에서만 나타날 수 있다. 왜냐하면 ‘비가 오’거나 ‘감기에 걸리다’는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것이고발화 순간을 강조하는 언어환경에만 나타나기 때문이다.

(5)여기서 ‘不会’는 양태성을 띄고 “할 가능성이 없다”를 의미한다. ‘不会回家的’는 ‘不回家’보다 ‘집에 가지 않다’는 주관적 의지를더욱 나타내고 일반적으로 ‘아무리 권해도집에 안 가’라는 분위기를 포함한다.

(6)이 경우에 속하는 단어는 ‘걱정하다, 고민하다, 염려하다, 걱정하다, 망하다, 후회하다,당하다’ 등도 있다.

(7)중국어에서 일반적으로 ‘没(有)’를 쓰는데‘没能’으로 번역하면 좀 어색하다.

(8) 소망이나 바람을 나타날 때 ‘말다’(不要/别)는 평서문에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면, 조국에 일찍 돌아왔으면 하는 바람이다./希望你尽快回国。

(9)한국어에서 ‘가능하다/불가능하다, 완성하다/미완성하다, 해결하다/미해결하다’ 등 여러용언은 대응되는 한자어 부정어가 존재하지만 부정문에서 따로 쓰지 못한다.

(10)임규홍(1986)에서는 분열문을 어떤 정보를 초점화하는 방법으로서 가장 특징적이고 개별적인 모습을 지니고 있는 문장이라고 정의하였다.

[1] 구본관 외, 『한국어의 문법 총론Ⅰ』, 서울:집문당, 2015.

[2] 이규보, 『학교문법』,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0.

[3] 최재희, 『국어교육문법론』, 광주: 조선대학교 출판부, 2001.

[4] 김명성, 「국어 부정문에 대한 연구」, 성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5] 두흔울, 「한중 부정문 대조 연구―부정표현과 용언의 결합관계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6] 마지에, 「한국어와 중국어 부정문의 대조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7] 방성우, 「한국어와 중국어 부정문의 대조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8] 시연, 「한중 부정문 대조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9] 염나, 「한국어와 중국어 부정문의 대비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0] 이혜, 「한중 부정문의 대조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1] 임춘희, 「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정법 대비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2] 장정,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정문 교육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3] 하천륜,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중부정 표현 대비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4] Fan Kexin, 「한중 부정법 대조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5] 潘林彦, 「韩中 否定文의 对照 硏究」,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6] 刘振中,「韩中 언어의 부정 표현에 대한대조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7] 宋来惠,「否定句分类探析」,『丹东师专学报』, 2000.

[18] 赵元任,『汉语口语语法』,北京:商务印书馆,1979.

[19] 吕叔湘,『现代汉语八百词』(增订本),北京:商务印书馆,1999.

[20] 黄伯荣,廖序东,『现代汉语』,北京:北京高等教育出版社, 1991.

 
方文文
《韩国语教学与研究》2018年第01期文献

服务严谨可靠 7×14小时在线支持 支持宝特邀商家 不满意退款

本站非杂志社官网,上千家国家级期刊、省级期刊、北大核心、南大核心、专业的职称论文发表网站。
职称论文发表、杂志论文发表、期刊征稿、期刊投稿,论文发表指导正规机构。是您首选最可靠,最快速的期刊论文发表网站。
免责声明:本网站部分资源、信息来源于网络,完全免费共享,仅供学习和研究使用,版权和著作权归原作者所有
如有不愿意被转载的情况,请通知我们删除已转载的信息 粤ICP备2023046998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