更全的杂志信息网

한국어학과 번역과목의 현존문제점과 보완책에 관한 연구*-교수 실제 및 교재 내용설정의 미비점보완 방안을 중심으로

更新时间:2009-03-28

1. 서론

현재 대부분 대학교들의 외국어 관련 학과에서는 실용적이고 종합적인 인재양성을 최종양성목표로 하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양성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교과목 설정에서 통·번역과목의 중요성은 한층 두드러지게 된다. 현실생활 및 사회적응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과목중 하나가 바로 통·번역이기 때문이다. 또한대체로 3학년 2학기와 4학년 1학기에 배정이되는 통·번역과목은 앞서 배운 거의 모든 과목의 지식, 예하면 쓰기, 듣기, 말하기 등 과목에서 습득한 지식을 종합적으로 활용해야하며, 외국어와 모어 사이의 차이점을 이론적으로, 체계적으로 인지하고 그 사용의 정확도를 실현하는 가장 중요한 학과목이기도 하다.

联合国教科文组织21世纪教育委员会提出一个命题“教育:必要的乌托邦”,和我们“教育梦”的提法异曲同工。“乌托邦”也好,“梦想”也好,寄托的都是人类趋向真善美的理想。乌托邦是虚构的,但却是必要的,它是引领人类的灵光,照亮道路的明灯。

그러나 중국 내 한국어학과의 통·번역과목,특히 번역과목(1)은 그 자체의 요인들로 하여적지 않은 문제들을 안고 있다.

첫째, 우수한 교재가 부족하다. 한국어학과는 기타 외국어학과에 비해 설립 역사가 짧은탓에 교육의 중심이 문법이나 회화에 치중되어 있다. 따라서 문법이나 회화에 관한 전공서적은 비교적 많지만 번역에 관한 교재는 그종류가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교재도 시급히 보완해야 할문제점들이 적지 않다.

둘째, 많은 대학들에서 한국어번역과목을개설하였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다른 영역에비해 뒤떨어져 있다. 특히 학교마다 정품과목강의에 중점을 두고 실천과 연구를 격려하다보니 번역과목에 대한 연구는 자연히 중시를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통일된 교수요목, 교육 목표 등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그 성과도 미비한 편이다.

有色金属矿山给排水设计的主要任务是满足采矿工程、选矿工程,配套的生活区及办公区等生产和生活用水对水质、水量和水压的要求;同时要将生产及生活产生的污废水有组织的收集并处理后回用或达标排放[1]。

셋째, 전문적인 교수진이 형성되지 못하고있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현재 한국어학과의교수진은 대개는 언어학전공, 문학전공 교사들로 이루어져 있고 통·번역전공자가 아주 적은 실정이다. 따라서 기타 전공 교사가 통·번역강의를 담당하는 경우가 보편적이다. 이러한 상황 역시 통·번역과목의 강의에 부정적인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 비추어 본고는 한국어학과번역과목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제점들, 특히현재 사용 중인 번역교재에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아울러 그 개선방안도 함께 찾아보고자 한다.

한국어학과 통·번역과목에 관한 연구는, 기타 영역에 비해 많이 부족한 편이다. 한중·중한 번역 전반에 관한 학술적인 연구는 어느정도 흐름을 이루고 있는데 반해, 번역교육,특히 학과목으로서의 중한·한중 번역교육에대한 연구는 불과 십수편(2)에 불과하다. 또한이러한 연구들은 대개는 통·번역과목에 관한원론적인 연구나 문화적 측면 혹은 특정 어휘관련에 국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에 비추어 본고는 통용되고 있는 교재를 구체적인연구대상으로 하고, 실제 강의과정에서 교사가 직면한 문제점 및 학생들이 제기한 문제점들을 함께 그 연구대상에 포함시켜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보완방안을 모색하는 연구방법을원용하고자 한다.

현재 중국에서 한국어학과를 개설한 대학은약 250여개에 달한다.(3) 이중 많은 대학들에서 번역과목을 개설하였는데(4) 사용하고 있는교재의 종류는 그리 많지는 않다. 그 중에서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교재가 바로 북경대학출판사에서 출판한 『한중번역교정』(5)과 『중한번역교정』(6)이다.(7) 이러한 실정에 비추어본고는 한중·중한 번역교수의 실제와 이 두교재를 주요한 연구대상으로 상정한다.

范围蒙版能帮助我们通过指定影调范围或者在屏幕上直接取色等手段更加精确地控制调整所影响的区域。配合该功能,我们几乎可以使用径向滤镜工具调整画面中任何一块色彩统一的区域,例如说上图中的蓝色衣服。首先使用径向滤镜将其整个框住,接着使用范围蒙版工具的吸管在上面拖动取色即可。

2.한중·중한 번역과목에 현존하는여러 문제점과 보완 방안

본고는 학생들을 상대로 하는 수업을 염두에 둔 연구인 만큼 교수 실제에 그 초점을 두려 한다. 때문에 이론적인 틀이나 그에 따른탐구는 일단 뒤로 하고 실제 번역수업에서 부딪쳤던 문제들을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후교재와 연관시켜 하나하나 분석하는 방법을취하고자 한다.

(一)1978—1992年,以对知识分子阶级属性的重新定位为起点,以落实知识分子政策为抓手,重获知识分子的政治认同

2.1 문장구조와 한국어 조사의 특성에관한 내용 보완의 필요성

상기 예문에서 ‘번역 1’은 원문의 순서를따른 것이고 ‘번역 2’는 순서를 바꾼 것이다.상기했듯이 한국어는 조사가 발달하였기에 어순을 바꾸고도 뜻이 비슷한 문장을 만들 수있다. 그러나 ‘번역 1’과 ‘번역 2’를 대조해 본다면 ‘번역 2’가 훨씬 자연스럽고 세련되었음을 금방 알 수 있다. 때문에 중·한 번역에서발생하는 이러한 규칙적이고 특수한 상황을학습자들에게 인지시키고 그에 따른 훈련이필요하다. 다시 말해 ‘以便’, ‘以免’과 같은 접속사가 있는 문형이나 ‘只……才’, ‘是……不是(不是……是)’와 같은 관용구가 나오면 우선도착어의 순서부터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학습자들에게 각인시킬 필요가 있다.

五四时期,中国的各派军阀依靠不同的帝国主义列强不断混战,社会亟需一次彻底的革命,推翻腐朽倒退的军阀暴政,而不是进行渐进缓慢的社会改良,马克思主义主张采取革命斗争的方式对社会进行彻底的改造,重建一个全新的公平社会,因为自近代以来的屡次改良没能使既存政治系统焕发活力,反而贻误了一次又一次融入世界现代化潮流的历史机遇,马克思主义的出现,为中国社会指明了前行的道路,特别是苏俄十月革命的胜利,让探索中的仁人志士看到了中国革命的曙光,中国共产党在马克思主义指引下,开始了中国化的实践历程,成为中国革命的中流砥柱,马克思主义的影响也因此不断扩大,传播力不断增强。

(1) ‘把字句’에 관한 문제

본고에서 연구대상 텍스트로 설정한 『한중번역교정』과 『중한번역교정』은 모두 2005년에 편찬되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10) 따라서 13년이란 시간이 지난 오늘, 일부 시간성에 민감한 내용들은 이미 많은 부적절한 측면을 노출하고 있다. 이 두 교재는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초청장, ▶축사, ▶연설, ▶뉴스, ▶신문논평, ▶성명, ▶설명문, ▶서사문, ▶논설문, ▶논문 ▶협의서(법규), ▶시나리오, ▶소설, ▶시가 등으로 구성되어 과목설정에서 매우 일치하다. 이 중 대부분의 장르들은 시간성이 없거나 그렇게 요긴하지 않지만 뉴스, 신문논평 등과 같은 시간성이 상당히 강한 장르는 15년 전에 선택한 텍스트를 오늘날에 사용하기에는 텍스트의 성격에서나 학습자들의 관심도에서나 모두 타당하지못한 감을 준다. 예를 들면, 『한중번역교정』의 제4과 ‘연설’은 노무현 대통령의 대통령취임 연설문이고, 제8과 ‘성명’은 제2차 베이징6자회담 의장성명이다. 그리고 『중한번역교정』의 경우 제6과 ‘뉴스’는 「중국카메라 생산량 세계 1위」이고, 제11과 ‘논설문’은 「중국경제발전과 전망」이다. 이러한 과목의 내용들은 모두 2004-2005년의 텍스트들을 선정한것으로서 오늘에 와서 교수내용으로 이용하기에는 적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물론 이는 교재라는 도서종류의 특성상 피치 못하는현상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교수내용으로서부적절함은 분명한 사실이다. 때문에 담임교사가 최근에 발표된 비슷한 장르의 문장을 선택하여 대체 텍스트로 사용하는 것도 이러한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예를들면, 베이징 올림픽에 관한 내용을 평창동계올림픽에 관한 내용으로 교체한다든가, 카메라생산량에 관한 내용은 휴대폰생산량에 관한내용으로 교체한다든가 하는 것이다. 이렇게한다면 현실사회와의 거리를 좁혀 실용성을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학습 열정도 유도할 수 있고 취미성도 높일 수 있다.

通过对民国时期公共体育场场长总体概况及知名公共体育场的分析,可以看出,民国时期公共体育场场长包括指导员群体是政府推行社会体育的重要群体。然而,由于历史资料的缺乏,导致对一些县及乡镇公共体育场场长在任职时期的贡献无法做出准确的评价,因此,对这一群体的研究不可能做到面面俱到。但是,这一群体的存在可以印证民国时期政府推动社会体育的基本理念和制度设想及实践过程,对认识我国体育制度的历史演变有重要的价值。同时,对公共体育场及公共体育场场长的进一步研究有利于深化我国体育历史尤其是社会体育历史的意义。

따라서 교재의 이러한 미흡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업내용에 대한 추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예하면 아래와 같은 훈련이다.

ㄱ. 我把今天的內容弄明白了。

-나는 오늘의 내용을 이해했다.

ㄴ. 客人们把孩子吵醒了。

-손님들이 떠들어서 아이가 깨어났다.

ㄷ. 我把钢笔跑丢了。

-나는 뛰다가 펜(만년필)을 잃어버렸다.

ㄹ. 她把眼睛揉红了。

-그녀는 눈을 비벼서 눈이 빨갛게 됐다.

이러한 예문에 대한 번역규칙 분석을 곁들인 강의와 반복되는 훈련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중·한번역에서의 ‘把字句’의 특성, 예하면‘把’ 뒤에 오는 성분이 무조건 목적어가 되는것이 아니라는 것, 한 문장에 두 개의 목적어가 있을 때의 번역 요령 등에 대해 숙지시켜야 한다.

(2) 문장 순서와 한국어 조사에 관한 문제

ICR小鼠64只,5周龄,在标准小鼠笼内饲养,给予标准食物和水,饲养温度(22±2)℃。动物由北京维通利华实验动物技术有限公司提供,医学动物合格证书号:SCXK(京2012-0001)。

한국어는 교착어이므로 특성상 구어나 시와같은 일부 장르를 제외하고는 거의 도치문(倒装句)을 쓰지 않는다. 물론 어떤 부분을 특별히 강조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예도 있지만그 역시 극히 소수이다. 이러한 상황이 가능한 이유는 한국어의 발달한 조사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즉 한국어는 발달된 조사를 이용하여 문장 순서나 문장 내 어휘의순서를 바꾸지 않고도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순서를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완전히 상반되는 의미를 표현할 수도 있다.

아주 간단한 예를 들어본다면, “哲秀喜欢英姬”라는 문장을 상반되는 의미로 표현하려면중국어는 어휘의 순서를 바꾸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한국어는 “철수는 영희를 좋아한다”는 문장을 순서 조절 없이도 “철수를영희는 좋아한다”는 문장으로 상반되는 의미표현이 가능하다. 의미표현에서 순서(어순)가중요한 중국어의 특성과 조사가 중요한 한국어의 특색이 잘 드러나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학습자들에게 숙지시키는 것은 매우 필요한 작업이다.

또한 일부 특정 형태의 중국어 문장들은 한국어로 번역될 때 거의 모두 순서가 바꾸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 중의 한 예가 바로 아래와 같은 상황이다.

(1) 今晚做好准备,以便明天一早动身。

번역 1: 오늘 저녁에 준비를 다 해서 내일 일찍 출발할 수 있도록 해라.

번역 2: 내일 일찍 출발할 수 있도록 오늘 저녁에 준비를 다해 두어라.

(2) 自行车要停放在存车处,以免影响交通。

번역 1: 자전거는 보관소에 두어서 교통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

(4) 李韩佑先生是韩国人,不是德国人。

(3) 只有他来,才能解决这个问题。

번역 1: 오직 그가 와야만 이 문제를 해결할수 있다.

▲6监测点外厂界噪声衰减断面监测结果表明:距离项目▲6厂界噪声监测点300米外的昼间声环境噪声和夜间声环境噪声可满足《声环境质量标准》(GB3096-2008)3类功能区标准限值要求。▲6厂界噪声监测点西南面均为荒地,只有距离厂界 1km外为村庄,由噪声衰减监测结果表明,厂界300米外已能满足功能区要求,故西南面厂界噪声超标目前暂不会造成扰民影响。

번역2 :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그가 와야(만)한다.

번역 2: 자전거는 교통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보관소에 두어야 한다.

번역 1: 이한우 씨는 한국인이지 독일인이 아니다.

(5)장민, 박광해, 김선희, 『한중번역교정』, 북경대학출판사, 2013.

一是完善征收征用集体土地的补偿标准。我国《土地管理法》第47条和《物权法》第42条规定的土地补偿标准主要依据被征收土地的原有用途,对土地被征收后的用途和收益缺乏考虑。为保障农业领域PPP稳定发展,应当建立征收征用农村集体土地的补偿标准与被征收土地的市场价值挂钩的制度,以兼顾国家、集体、个人的土地增值收益分配。

번역은 두 언어 사이에서 진행되는 작업인만큼 두 언어가 각기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도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예하면, 같은 어족에 속하는 언어는 문장구조가유사한 데 반해 다른 어족에 속하는 언어는문장구조 자체가 많은 차이점을 보인다. 중국어와 한국어는 소속된 어족이 다르다. 중국어는 한장어족(汉藏语)에 속하는 고립어이고 한국어는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교착어이다. 물론 본고에서 그 언어적 특성을 일일이 살펴보자는 것이 아니라 한중·중한 번역강의에서 이로 하여 초래되는 문제점들을 우선 살펴보려는 것이다. 특히 고립어로서 중국어의 문장특성 중 문형 및 문장성분 순서의 중요성과그것이 한국어로의 번역과정에서 어떠한 방법과 형태로 표현되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대목이기도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 밖에 어족간의 서로 다른 특성으로하여 중·한 번역에서 유의해야 할 점들은 아주 많다. 본고는 다만, 오랜 교수과정에서 발견한, 연구대상 교재에서 중시하지 못했지만번역 실제에서 아주 중요한 점을 두 부분으로나누어 구체적인 실례로 살펴보았을 뿐이다.특히 중국어 문형의 특수성과 한국어 조사의특수성은 한중·중한 번역에서 아무리 강조해도 과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2.2 교재 내용의 시대성과 새로운어휘에 관한 내용보완의 필요성

(1) 교재 내용의 시간적 부적절성에 따른보완의 필요성

‘把字句’(‘使’, ‘令’, ‘将’을 사용한 문형 포함)는 한국어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문형이라 할 수 있다.(8) 특히 중·한번역에서 도착어에 취약한 중국인학생들에게 이는 난이도가 아주 높은 문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把字句’는 중국어텍스트에서 상당히 높은 비중으로 사용되는 문형이기에 이 점을 소홀히할 수 없다. 그런데 어떤 취지에서인지 연구대상 교재인 『중한번역교정』에서는 이 부분에대해 거의 취급하지 않고 있다.(9) 이러한 내용 설정은 ‘把字句’가 중·한번역에서 차지하는비중과 난이도에 비례되지 않는다고 해야 할것이다.

(2) 새로운 어휘 및 굳어진 표현에 관한 내용 보완의 필요성

오늘날 사회는 지식폭발의 시대이고 빠른템포로 변화하는 사회이다. 이러한 사회적 특성은 언어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지식 총량의 신속한 증가와 사회의 격변은 수많은 새로운 어휘와 굳어진 표현을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새로운 어휘와 굳어진 표현을 한번 편찬하면 십수년, 20년 이상 사용하는 교재가 적시적으로 반영할 수 없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라 할 수도 있다. 때문에 번역과목의 담당교사는 출발어와도착어 두 부분의 새로운 어휘와 굳어진 표현들을 제때에 교수내용에 포함시켜 학습자들이인지하도록 함으로써 그들을 사회와 한층 긴밀히 밀착시키고 지식의 실용성을 향상시킬필요가 있다.

한중·중한 번역에서 두 언어환경을 각기 살펴본다면, 중국어에서는 사회적 변혁에 따라만들어지는 굳어진 표현과 특수 어휘가, 한국어에서는 한국어순화에 따라 새로 만들어진어휘들을 이 부분 교수내용 보완의 중점으로할 수 있다.

ㄱ. 중국어에 새롭게 추가되는 굳어진 표현이나 새 어휘들을 수시로 교수내용에 보완할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일부 중국어의언어행위들은 이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중국인들과의 소통도 상황에 따라서 쉽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가장 어렵고 중요한 부분은 중국의 정치경제적 정책에 의해 만들어지는 새롭게 굳어진 표현들이다. 예를 들면 “一个中心两个基本点”,“三个代表”,“京津冀”,“四个全面”,“简政放权”,“新常态” 등과 같은 굳어진 표현들을 어떻게 번역해야 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한국언론사들의 보도에서 이들을 어떻게 번역하고 사용하였는가를 살펴보고 그 중 비교적 잘 된 것을 학습자들에게 전수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京津冀”는 ‘징진지(京津冀: 베이징·톈진·허베이의 약칭)로, “简政放权”은 ‘간정방권’(簡政放權·조직간소화와 권한의 하부이양)으로, “新常态”는뉴노멀(New normal·신창타이‘新常態’)로 번역하게 하는 방법이다.

다음은 민간언어생활에서 새롭게 만들어지는 특수 의미의 어휘들이다. 이 부분의 어휘들은 실생활에서는 물론 영상텍스트에서도 사용빈도가 높기에 소홀히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老司机’,‘白骨精’,‘菜鸟’,‘炒鱿鱼’,‘擦边球’과 같은 어휘들이다. 이런 어휘들은 ‘戴高帽子’,‘地头蛇’ 등과 같은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특수 어휘들과는 달리 사전에서 찾기어렵고 또한 시대적 의미가 가미되어 있기에제때에 그 의미와 언어행위에서의 사용법을학습자들에게 전수할 필요가 있다.

ㄴ. 한중번역에서는 한국어의 새로운 표현들이 중요시된다. 물론 이 부분에서 외래어와같이 수시로 새 단어가 탄생하는 부분도 중요하지만, 외래어는 전문사전도 있고, 영상텍스트와 같은 외래어에 대해 중시를 일으킬 수있는 계기가 많기에 학생들에게 그 중요성과학습 방법을 인지시킬 기회가 많다. 그러나한국인의 언어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다주고있는 한국어순화캠페인으로 하여 만들어지는어휘는 상기한 두 권의 연구대상 교재에서 물론, 기초한국어 등 거의 모든 학과목에서 중시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이 부분의 어휘는 한국인들의 언어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또한 어떤 측면에서는 한국어 어휘의미래발전추세를 보여주는 단면도 있기에 반드시 중시를 돌려 학습자들에게 그 생성 원리와중요성, 의미, 번역방법을 습득시켜야 한다.

한국의 국어순화란 “국어를 바르고 곱게 닦아 쓰는 일”(『우리말 큰사전』)로 주요하게 ①비규범 언어(비표준 언어)를 규범언어(표준언어)로 고쳐 쓰는 일, ② 난해하거나 최신의외래 언어 요소(외국어, 외래어)를 모어(고유어, 한자어)로 고쳐 쓰는 일을 말한다. 한국어순화의 역사는 중세까지 거슬러 올라 갈 수있겠지만, 당대에 와서 정부 부처 주도로 진행된 것은 1946년부터이며 수십 년 간 꾸준히 행하여지고 있다.

본고는 번역교수를 위한 논문이므로 한국어순화 전반에 대한 논의보다는 간단한 예들로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만 설명하고자 한다.한국어순화가 이루어진 예를 제시하면 구좌→계좌, 이모티콘→그림말, 생방송→직접방송, 가건물→임시건물, 기스→흠, 메뉴→차림표, 네티즌→누리꾼, 컴퓨터→샘틀, 동사→움직씨, 명사→이름씨 등등이다. 위의 예에서도 한국어순화가 외래어, 한자어 등 어휘 성격이나 또는 사회생활 관련 어휘나 전문 학술용어 등사용 영역을 막론하고 언어생활 전반에 걸쳐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제는 순화를 거쳐 탄생한 어휘가 모두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즉 순화된 어휘 중 어떤 어휘는 대중들에게수용이 되어 언어생활에서 완전히 자리를 잡았고 어떤 어휘는 두 가지가 모두 사용되고있으며 어떤 어휘는 대중들로부터 외면을 받아 사용이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야끼만두→군만두, 구좌→계좌 등은 첫 번째 부류에속하고, 메뉴→차림표, 네티즌→누리꾼, 연륜→나이테 등은 두 번째 부류에 속하며, 와사비→고추냉이, 이모티콘→그림말 등은 세 번째 부류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교사는 마땅히 이러한 상황들을 학습자들에게 인지시켜어휘 선택 시 올바른 판단을 하도록 할 의무가 있다. 특히 이렇게 순화된 어휘가 향후에도 계속 늘어난다는 점에서 이 부분의 내용을교수내용에 포함시켜야 하는 필요성은 한층강조되어야 한다.

3. 결론

본고는 다년간의 실천 경험을 바탕으로 중국 한국어학과 번역과목에 존재하는 다양한문제점들, 특히 현재 사용 중인 번역교재에존재하는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아울러 그 보완 방안도 함께 고안해 보았다. 본고는 순수하게 한중·중한 번역교육에만 그 범위를 국한시켰으므로 번역에 관한 일반적인이론 및 실재와는 거리를 두었다.

본고는 문장구조와 한국어 조사의 특성에관한 내용 보완의 필요성 및 교재 내용의 시대성과 새로운 어휘에 관한 내용 보완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현재 사용 중인 교재의 미비점을 살펴보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구체적 보완책들을 제시하였다. 물론 본고의 연구대상 교재가 미비점만 있다는 것은 아니다. 현재 중국의 대학 한국어학과에서 사용하고 있는 번역교재 중 상기 두 교재가 가장 우수하다는것은 많은 담당교사들의 중론이다. 다만 시간성 등 여러 가지 환경요소들의 변화로 일부미비점들이 노출되었고, 본고는 그 점에 대해보완책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한국어학과 번역과목 교수 전반에대한 연구의 단계적 성과이다. 때문에 이 분야에 망라된 극히 일부분의 과제들만 섭렵할수 있었음을 매우 아쉽게 생각하며, 다음 단계에는 성어 및 관용구의 대역, 문장성분과어휘성격의 전환, 시나리오 및 대화 번역의특성 등 과제들을 연구대상으로 상정하고 지속적인 연구를 해나갈 것임을 함께 밝혀둔다.

(1)현재 한국어학과를 개설한 여러 대학들의상황을 보면 통역과목을 정규적으로 강의하는 학교들이 많지 않기에 본고는 번역과목을 주요한 연구대상으로 설정한다.

(2)필자가 한국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www.riss.kr)’와 중국의 ‘中国知网(http://www.cnki.net/)’에서 검색해본 결과 검색된 논문은 십수 편, 그중 일정한 학술적 가치를가진 논문은 10편 미만이었다.

(4)乔红红(2016)의 「中韩两国高校翻译专业设置现状考察——以中·韩翻译专业为中心」에 따르면 현재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 번역과목을 개설한 대학은 118개에 달한다.

(3)채미화, 「중국의 조선-한국학의 현황과 발전과제」, 『2017 중국조선-한국문학연구회학술회의 논문집』, 2017.9.

번역 2: 이한우 씨는 독일인이 아니라 한국인이다.

(6)장민, 김희선, 『중한번역교정』, 북경대학출판사, 2012.

(7)주정(2015)의 「중국대학교 한국어학과 한중 번역 교재 개발 연구」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4년제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는 이 두교재를 사용하고 있다.

看客多好奇,爱扎堆,不管哪里围上一圈人,立马蜂拥而至,管他啥事,看看再说。个儿矮的只恨爹娘没给自己生一个高大挺拔的身材,只好发挥小巧灵活的优势,使劲往人缝儿里钻;个儿高的倒是侥幸占据了优势,却还想看得更清楚,照样往前挤。“认驴为亲”的闲汉便是众多看客的典型。

(8) ‘~로 하여금’, ‘더러’ 등 표현이 있기는 하지만 중국어의 ‘把字句’와는 크게 다르다.

(9) 다만 제8과의 ‘번역지식’ 부분에서 ‘将’을 사용한 예문 2개를 소개하고 있다.

(10)이 두 교재는 모두 2013년에 수정을 거쳐현재 『한중번역교정』은 제3판, 『중한번역교정』은 제2판이 사용되고 있지만, 기본적인 내용은 제1판과 크게 다르지 않다.

[1] 김명순, 「한중·중한 번역 교육의 일부 난제에 대한 고찰」, 『중국어문논역총간』, 중국어문논역학회, 2015.

[2] 김영수, 「중국의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내실화를 위한 기초 연구―중한번역과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한중인문학회, 2007.

(37)人兇恣橫,餧茶逞欲,埋蠱饜勝,使人壽促。(《太上說玄天大聖真武本傳神呪妙經註》卷六,《中华道藏》30/576)

[3] 금지아, 「한중 번역에서의 문화소 번역 전략」, 『번역학연구』, 한국번역학회, 2015.

[4] 박덕준, 「중한번역 교수전략의 모색」, 『중국언어연구』, 2010.

[5] 채미화, 「중국의 조선-한국학의 현황과 발전과제」, 『2017 중국조선-한국문학연구회 학술회의 논문집』, 2017.

常见的断面形式主要有梯形、矩形、拱形。实际截割时,具体的截割工艺随着巷道大小和形状的变化而有所不同。断面截割的方式一般是首先截割出一个大致的轮廓,再慢慢修正,直到形成预期的断面效果,在断面成形的过程中主要依靠工作人员的经验或者卷尺等工具来完成,所以存在很大的随机性和经验性。因此,采用先水平后垂直的循环截割方式,如图2中所示的S形截割路线[7-8],从断面的最下面钻进开始截割,按照路径顺次向上截割,最后进行扩帮,完成一次断面截割(以矩形巷道为例)。

[6] 주정, 「중국대학교 한국어학과 한중 번역 교재 개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7] 태평무, 「중한번역의 이론과 실제」,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8.

目前,我省猕猴桃果园常见病害为软腐病、溃疡病、花腐病、褐斑病及膏药病等,主要虫害有叶蝉、红蜘蛛、介壳虫等。猕猴桃病虫害应以预防为主,重视冬季清园,加强果园管理,增施有机肥;萌芽期、花期等关键时期交替喷雾菌剂或虫剂和保护剂等及时防治。

[8] 乔红红,「中韩两国高校翻译专业设置现状考察——以中·韩翻译专业为中心」, 『한국어 교수와 연구』, 2016.

 
李太福,王庆云
《韩国语教学与研究》2018年第01期文献

服务严谨可靠 7×14小时在线支持 支持宝特邀商家 不满意退款

本站非杂志社官网,上千家国家级期刊、省级期刊、北大核心、南大核心、专业的职称论文发表网站。
职称论文发表、杂志论文发表、期刊征稿、期刊投稿,论文发表指导正规机构。是您首选最可靠,最快速的期刊论文发表网站。
免责声明:本网站部分资源、信息来源于网络,完全免费共享,仅供学习和研究使用,版权和著作权归原作者所有
如有不愿意被转载的情况,请通知我们删除已转载的信息 粤ICP备2023046998号